All          PARK         GARDEN        RESIDENTIAL          Commercial          COMPETITION  
ABOUT         NEWS         PEOPLE         PROJECTS         PUBLICATION        CONTACT

113. 우이천 수변활력거점 제안공모


LOCATION : Gangbuk-gu, Seoul
TYPE : Park, Competition
CLIENT : 서울특별시 
TEAM:  G.L.A + MMM design studio
DESIGN YEAR :  2023
COMPLETION : 2nd

우이천변의 저층 건축물들은 하천방향보다는 도로를 향해 열려있다. 하천변 공간은 운동기구 자전거도로가 점유하여 아이들과 가족들이 맘껏 뛰놀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시장과 먹자골목 방문객의 발걸음은 우이천까지 미치지 못하고 다시 대로변으로 향한다. ‘돌아와요 우이천에’ 는 우이천의 옛기억을 회상하며 다시 하천으로 사람들이 모이도록 하고자 하는 우리의 염원이 담겨져 있다. 
어른, 아이, 동네어르신, 그리고 각자의 특색을 뽑내는 건축물까지 우이천을 향해 돌아와서 활력넘치는 수변도시가 될 수 있도록 도시적 전략과 특화시설을 제안한다.



1. 우이천 일대 도시적 맥락의 이해

백년시장과 수유리먹자골목이 상권축을 이루고 있으나, 우이천으로 올수록 상권의 영향이 악화되고 있으며, 오래된 단독주택의 비율이 상태적으로 높은 편인데 이는 우이천과 연계하여 잠재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볼 수 있다. 수유리먹자골목에 대부분의 카페가 집중되어 있으나, 카페에 비해 음식점의 분포도가 상당히 높다. 
전반적으로 봤을 때, 상권이 우이천의 반대편을 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는 주요 가로망이 우이천을 향해 분포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성수동, 연남동 일대와 같이 단독주택이 다수 분포한다는 점은 우이천 일대의 활성화를 통해 도시가 함께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도시와 우이천이 상생하기 위한 4가지 전략

1.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친수성
하천방향으로 건축물의 전면성을 확보하고 제방 상단부에 ‘우이마루’ 라는 이름의 하천변 휴게공간을 추가하며 고수부지에는 얕은 물을 담는 광장형 물놀이공간을 제안한다.

2. 지역 상권과의 연결장치
수유교와 우이마루를 통해  동시에 200명 이상 수용 가능한 공유식탁을 마련하고 우이천 방향에 백년시장 게이트를 추가하는 방식의 물리적 연계성을 확보하면서 백년시장 청년기획단과 수유리먹자골목 상인회와 함께하는 공동기획을 통해 우이천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행사를 기획할 수 있다.
우이천변의 주택가는 최근 저층주거지의 디자인을 개선하고자하는 서울시 정책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시범지구를 제안하며, 신속통합기획 재개발사업지구의 저층부 상가는 백년시장과 우이천변의 연계를 매개하는 활성화요소로 활용가능하다.

3. 커뮤니티의 중심이 되기 위한 마당
대상지 내에는 은모루공원이라는 작은 어린이 공원 외에는 공원이 없기 때문에, 우이천변이 그 기능을 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우이물결마당’ 과 ‘우이소풍마당’의 특화공간을 통해 놀이와 운동, 휴식, 그리고 지역축제를 위한 열린공간으로 활용가능하다.

4. 느리게 걷는  하천
기존의 자전거도로는 쌍한교 남단에서 시작하여 대상지를 통과하고 있어 자전거도로가 우이교에서 시작하도록 변경하고 고수부지 전체를 보행중심의 여유 있는 공간으로 변화시키고자 한다

3. 마스터플랜

4. 수유교  

5. 우이물결마당
6. 우이마루
7. 우이소풍마당
8. 도봉로101길의 변화

9. 활력마당

© VIR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