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IS PARK
RENOVATION

파리공원 리노베이션



LOCATION : 서울, Seoul Korea
TYPE : 공원, Park
AREA : 29,619M2
CLIENT : 양천구청, Yang Cheon-gu Office
ARCHITECTURE : 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 Simplex Architecture
CONSTRUCTION YEAR :  2022

목동 파리공원은 한국 조경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공원이며 목동 시민들의 오랜 사랑을 받아온 장소이다.  1987년의 파리공원은 근린공원으로 계획되었지만, 프랑스 수교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상징적 성격의 기념공원으로 조성되었다.

파리공원 리모델링 기본 계획은 원안의 중심 가치를 존중하되 시민을 위한 파리공원의 근린공원으로서의 역할을 다시 되찾고자 하였다. 35년의 시간동안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추가되고 변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오늘날과 미래의 목동을 위한 새로운 공원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Mokdong Paris Park is an important park in Korean landscape history and a place that has been loved by Mokdong citizens for a long time. Paris Park in 1987 was planned as a neighborhood park, but was created as a symbolic memorial park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France.

The Paris Park remodeling basic plan respected the central values of the original plan, but sought to regain Paris Park's role as a neighborhood park for citizens. Considering the elements that have been add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citizens over the past 35 years, we sought to find the meaning of a new park for today's and future shepherds.

>목동 신시가지와 근린공원; Parks in The Newtown 1980s


파리공원은 목동 신도시 내 5개 근린공원 중 하나로 기획되었으나 1987년 프랑스의 외교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공원의 성격으로 조성되었다. 파리공원은 한국 조경 역사에서 공원이 설계 작품으로 인정받은 첫 사례 중 하나로 당시 한국조경의 설계 수준의 지표가 되는 작품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공원은 보수로는 버터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전면적인 리노베이션이 필요하였다. 새로운 설계의 초점은 원안의 의미와 상징성을 존중하되 그동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요구되는 변호한 근린공원의 역할을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었다.

80년대의 상징성은 2020년대의 새로운 감각으로 해석되었고, 도시가 성숙하면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용자층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설계적 대안이 필요하였다. 새로운 파리공원은 상징에서 장소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며 새로운 공원의 의미와 상징을 고민한 결과이다.


Paris Park was planned as one of five neighborhood parks in Mok-dong New Town, but was created in 1987 as a comme-morative park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France's diplomacy. Paris Park was one of the first cases in the history of Korean landscaping where a park was recognized as a design work and was an indicator of the design level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at the time.

However, as time passed, the park became difficult to repair, and a full-scale renovation was necessary. The focus of the new design was to respect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the original plan, but to reinterpret the role of a neighbor-hood park as required over time.

The symbolism of the 1980s was interpreted as a new sense of the 2020s, and creative design alternatives were needed to resolve the conflicts between various user groups that emerged as the city matured. The new Paris park is the result of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from symbol to place and considering the meaning and symbol of the new park.

>과거의 상징적 공원;  PARKS AS SYMBOLS


원설계에서 파리공원은 서울과 파리를 상징하는 기념공원의 성격이 강하게 부여되었다. 이때 두 가지 다른 문화를 조경설계의 언어로 개념화하여 공간으로 구현하는 것이 디자인의 중심적 과제였다.

그러나 오늘날 이용자들은 파리공원의 의미의 연원을 파악하지 못할 정도로 파리공원의 상징적 의미는 잊혀진 상태이다. 공원은 35년간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시설물들이 추가되며 점차 상징적 기념공원에 근린공원으로 변화해 왔다. 상징적인 공원과 일상적인 사용을 위한 송원이라는 서로 다른 공원 사이에는 해결 할 수 없는 간극이 존재 할 수 밖에 없었다.

변화의 과정에서 원설계안은 변형될 수 밖에 없었으며 다른 시기에 추가된 시설들은 전체적으로 조화되지 않을뿐더러 기능적으로 상충되는 문제도 나타났다. 2022년의 새로운 디자인은 1987년 원래 디자인의 의도를 존중하면서, 다양한 이용자의 실제적인 필요에 부응하는 공원으로 재구성되어야 했다.
In the original design, Paris Park was given a strong character as a memorial park symbolizing Seoul and Paris. At this time, the central task of design was to conceptualize two different cultures in the language of landscape design and implement them into space.

However, today, the symbolic meaning of Paris Park has been forgotten to the extent that users cannot understand the origin of its meaning. Over the past 35 years, facilities have been add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residents, and the park has gradually changed from a symbolic memorial park to a neighborhood park. There was bound to be an unresolvable gap between the symbolic park and the different parks called Songwon for everyday use.

In the process of change, the original design was bound to be modified, and the facilities added at different times were not only not harmonized overall, but also had functional conflicting problems. The new design for 2022 was to respect the intent of the original 1987 design, while reconfiguring the park to respond to the practical needs of a variety of users.

>종합계획도;  MASTER PLAN



01. 순환;  Circulation
디자인팀은 1987년의 컨셉을 존중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리모델링 비용을 줄이기 위해 공원의 기존 물리적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순환 시스템은 사람들의 실제 사용과 요구에 따라 섬세하게 검토되고 수정하였다. 완전히 새로운 구조를 도입하는 것보다 통로의 폭, 유모차와 휠체어의 접근성, 계단과 통로의 재질, 알아볼 수 없는 출입구 등을 세심하게 재설계했다.

A variety of new programs are introduced to reactivate the park considering diverse groups of users. Considering existing problems and conflicts, several existing programs were relocated and transformed into different programs. In restructuring park programs, an intense social study based on site observation and interview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al problems and needs of people.
02. 프로그램;  Program
다양한 이용자층을 고려한 공원 재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신규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기존의 문제와 갈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여러 프로그램을 다른 프로그램으로 재배치하고 변형했습니다. 공원 프로그램 개편에서는 사람들의 실제 문제와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현장 관찰과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집중적인 사회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A variety of new programs are introduced to reactivate the park considering diverse groups of users. Considering existing problems and conflicts, several existing programs were relocated and transformed into different programs. In restructuring park programs, an intense social study based on site observation and interview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al problems and needs of people.

>상징과 전통;  Symbols & Traditions

01. 서울광장;  Seoul Square
파리공원에서 서울광장은 한국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설정되었다. 서울광장의 한국성은 여러 차례의 보수를 거치면서 알아보기 어려운 흔적 정도만 남아 있게 됬다. 주인의 자리인 만큼 한국적이어야 했고, 동시에 과거에 함몰되지 않고 현재라는 시간에 어울려야 했다. 지금의 낮은 담을 전통담 쌓기 방식으로 높여 벽을 통해 공간이 확실히 인지되게 했다. 흑색 전벽돌을 사용하고 절제된 마감 처리를 통해 과거의 차용이 아닌 현대적 감각의 전통으로 느껴지게 했다. 삼태극 역시 현대적으로 다시 표현하고자 흑과 백의 화강석을 사용했다. 사라진 일월오봉도는 화강석에 레이저로 정교하게 다시 그려내고, 그 앞에는 정갈한 한국식 정원을 만들었다.
The Seoul Square, representing the city of Seoul and Korean 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symbolic space in the original design concept. To give shape to the concept, Seoul Square was put on the highest spot of the park and filled with traditional Korean design motifs. However, Seoul Square became a neglected space since people hesitated to go to the small square hidden behind the huge stonework of the cascade, which was not comfortable to access. The design team keeps the quiet and cozy atmosphere of the small square rather than making this space more active and vibrant. The square was redesigned more like a garden with new Korean traditional design motifs translated into a contemporary language. Clearing overgrown plantings and making the access more comfortable, the small square became a hidden jewel of the park, the best place to read a poem with a latte on Sunday morning.

02. 중심축 & 한불마당;  Main Plaza and Axis
중심축에는 전통적인 건곤감괘의 패턴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패턴을 도입하여 현대적인 한국적 상징서을 담고자 하였으며, 한불마당은 기존의 재료를 활용하면서 새로운 경관을 연출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한국과 프랑스의 전통적인 주제 공간 외에도 오늘날의 현대적 파리와 서울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디자인 모티브를 도입하였다. 휴식공간이 부족했던 한불마당 경계부에 시민들의 휴식을 위한 공간을 새롭게 제공하였다.
The main plaza located at the southwest part of the park is the largest paved plaza where various community events used to take place. The design team introduces a new paving pattern in the main plaza and the central axis translat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o contemporary landscape design.
Transforming the trigrams from the Book of Changes, the ancient Chinese text, the design team created a modern pattern implying the old wisdom of east asian culture.


>보존과 개선;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01. 벽천;  Cascade
용상(龍床)과 돈대(墩臺)를 추상화한 벽천은 1987년 공원의 가장 중심적 상징이었다. 용상을 상징하는 벽천과 배후의 영지는 아이들에게 물놀이터로 인식되었다. 안전펜스를 치고 단 차이를 두어도 결국 아이들이 차지할 공간이 된다면 새로운 디자인에서는 아이들이 마음껏 놀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기로 하였다. 1987년의 상징성을 고려하여 벽천 구조는 그대로 유지하고 낡은 화강석 옷을 바꿔 입혔다. 펜스가 없어도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위압적인 벽천의 경계를 낮추고 계단식으로 완만하게 바꾸었다. 근엄한 상징으로서 용상은 이제 모든 이들에게 열려있는 친근한 공원의 상징이 되었다.
The existing cascade whose design motivation came from the traditional Korean throne represents Korean culture in an abstract form of art. The original design did not allow people to get near this monolithic stonework;
however, from the moment of the opening park, children have regarded the symbolic artwork as a playful amusement feature. The design team got rid of fences around the cascade allowing kids to enjoy the water as they want while providing a safer environment for various age groups of children. The vertical wall of he cascade was turned into stairs that even infants can safely climb up and play with water. The majestic granite throne that has looked down on the viewers now become a friendly symbol of the park open to everyone.

02. 영지과 바닥분수;  Mirror Pond
파리공원의 영지와 분수는 공원의 중심적인 경관은 형성하던 공간이었지만 바닥부의 균열로 인해 전면적인 재설계와 재공사가 필요하였다. 새로운 설계에서 상징적인 분수와 영지는 재구성되어 주민들이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는 실용적인 상징공간으로 바꾸었다. 수심을 낮추고 수경시설을 가동하지  않을 경우도 경관적 가치를 지니며 활용이 가능한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영지의 경계는 단을 낮추어 부족한 휴식공간을 확보하여 영지가 목동의 중심적인 커뮤니티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original design, the pond was designed as a scenic water feature, which was intended only to be viewed from a distance. The design team decided to make this silent and solemn mirror pond into a multi-purpose water plaza with an interactive fountain, where various activities can take place. 1m drop of the pond edge was overcome by raising the entire floor level with the pedestal system. Once the mirror pond floor and edge level are flush, the mirror pond becomes a large play field filled with water. The depth of water is designed to be 3-5mm which coats the surface of the plaza with a thin skin of water.  The water skin of the mirror pond creates a unique atmosphere, almost giving a surreal experience of walking on the sky reflected on the water. The water plaza will turn into an event plaza for a variety of community activities in the spring and fall when the plaza is not filled with water.

03. 커스텀 디자인 벤치; Custom-designed Bench
영지 가장자리에 목재벤치와 나무 그늘이 마련되어 부모님들이 아이들의 물놀이를 지켜보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The edge of the pond became a resting place with custom-designed benches and shade of trees where parents can take a rest while watching their children playing in the water plaza.

>문화와 활동;  Culture and Activities

01. 액션플라자; Action Plaza
시민들의 이용도가 높은 운동시설을 재배치하고 보완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공간적 대안을 제안하였다. 보행로와 상충되어 불편함이 제기되던 농구장을 남측으로 옮겨 개선된 농구코트를 도입하였고, 기존 농구장의 위치에는 다양한 운동과 놀이가 가능한 활동 공간을 만들었다. 특히 청소년층의 이용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From the field study of the park use, the design team discovered that there is no specific program provided for the teenage group. Since the Korean neighborhood park model is based on family users with kids, the consideration for the teenager group was mostly neglected. The design team transforms the underused outdoor exhibition space into a sports plaza equipped with custom-designed exercise equipment, a foursided basketball hoop, and outdoor table tennis, targeting the youth group from teenage to the early 30s. However, the action plaza is open to every age group of amateur athletes.

02. 운동장과 농구코트;  Playground & basketball Court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공원 내 놀이기구 도입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규정으로 인해 기존 공원에는 놀이터가 없었다. 따라서 정식 놀이터가 아닌 아이들이 정형화된 미끄럼틀과 그네 없이 공원을 즐길 수 있는 놀이터를 도입하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찾아야 했었다. 기존 농구장은 공원 주요 도로 중앙에 위치하여 상충되는 프로그램을 없애기보다는 전체 농구장을 활용도가 낮은 공간으로 옮겼다. 새로운 코트에는 관중과 다음 차례를 기다리는 단체를 위한 넓은 휴식 공간이 제공하였다.
Even though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children’s programs, there was no playground in the existing park because the regulation did not allow to introduce of playground equipment in the park. Therefore, the design team needs to find an innovative solution to introduce the playground, which is not officially playground, where children can enjoy the park without stereotyped slides and swings. The existing basketball court is in the middle of the main park path, rather than getting rid of the conflicting program, the full basketball court was moved to the underused area. A spacious resting place for spectators and the group waiting for the next turn is provided with the new court.

03. 잔디마당과 커뮤니티센터; Picnic Lawn with Salon de Paris
한때 공원의 잔디밭을 보호하기 위해 펜스를 쳤던 우리에게 잔디밭은 아직 제대로 경험해보지 못한 공간이며 문화다. 이 공원에 제대로 된 잔디밭의 가치를 보여주고 싶었다. 잔디밭은 비어 있는 공간이지만 도시의 광장처럼 오픈스페이스로서 역할하려면 주변이 잘 구성되어야 한다. 주변에 할 것이 없으면 빈 공간은 버려진 공간이 된다. 그래서 북동층 입구 쪽에 새로운 건물을 배치하고 그 앞에 잔디가 펼쳐지게 했다. 잔디밭 뒤로 운동 공간을 조성했다. 잔디밭 전면은 넓은 물의 공간인 영지로 시원하게 열리게 했다.

새로운 커뮤니티센터 ‘Salon de Paris’ 는 기존의 북카페와 함께 여러 문화적 행사가 열릴 수 있는 시민들의 문화 공간이다. 파리 문화원과 연계한 프랑스 문화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이 건물은 다양한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이 공존할 수 있는 유연한 공간을 제공하되, 특히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노인층을 배려한 시설이 마련되었다.
In the 1980s a lawn was always fenced in Korea because a lawn in the park was regarded as a scenic view, not a place to be used. The part of the overgrown grove was removed to provide an open lawn for a picnic. The new community center was added adjacent to the open lawn.

The senior group lost their gathering space after the existing community center became a community library for kids and moms. Even though the new building, 'Salon de Paris' is not dedicated to a specific age group, the use of the elderly group was carefully considered. The design team designed a flexible hub where different interests of users can coexist by providing alternatives to programmatic strategies.

04. 산책로; Forest Trail
산책로는 원설계에서는 없었으며 이후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추가가 된 시설이다. 그러다보니 지형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동선이 만들어졌으며 지속적인 침식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기능적 문제를 해결하여 주민들이 편안하게 산책을 할 수 있도록 재조성하였으며, 야간 이용을 위해 조명과 공간을 조정하였다. 이에 더해, 미래 지향적인 스마트 파고라와 IOT기술을 활용한 조명 등 다양한 요소들을 도입하여 미세먼지와 기부 변화에 대비 할 수 있는 다양한 설계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The walking trail was not included in the original design, but was later added in response to the needs of residents. As a result, movement routes were created that did not sufficiently consider the topography, and continuous erosion occurred. By solving these functional problems, it was reorganized so that residents could walk comfortably, and lighting and space were adjusted for night use. In addition, various elements such as futureoriented smart pergola and lighting using IOT technology were introduced to present various design elements that can prepare for changes in fine dust and donations.


UICHEON WATERFRONT
DEVELOPMENT PROJECT

노원구 우이천 수변활력거점 조성사업 제안공모



LOCATION : 서울, Seoul Korea
TYPE : 제안공모, Competition
AREA : 1,211㎡
CLIENT : 서울특별시,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YEAR :  2023

하천 정비사업의 일환이었던 제방이 우이천을 주변부와 단절, 고립시키고 있다. 더불어 우이천변의 녹화거리는 하천에 대한 거리감을 더욱 두텁게 하고 있어 접근을 방해하고 있다. 이렇듯 하천일대의 공간적 제약과 폐쇄적인 녹지대 조성으로 인해 우이천변의 공간적 이용은 매우 단순화 되었으며 기능, 여가, 문화적으로 쇠퇴하였다.

이에 막혀있던 공간을 열어주고 주변부와 적극적으로 소통해, 하천과 긴밀한 관계를 조성함으로 대상지를 노원구 월계동의 수변문화감성공간으로서 제안한다. 나아가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연계 자원과 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경관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서 고립된 녹지섬에서 벗어나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열린 수변거점형 공간으로의 새로운 도약을 기대한다.


The embankment, which was part of a river maintenance project, disconnects and isolates Uicheon Stream from the surrounding area. In addition, the greening distance along the Uicheon Stream increases the sense of distance to the river, hindering access. As such, the spatial use of the Uicheon Stream has been very simplified and declined functionally, leisure, and culturally due to the spatial constraints of the river area and the creation of a closed green area.

The target site is proposed as a waterfront cultural emotional space in Wolgye-dong, Nowon-gu, by opening up the blocked space and a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surrounding area to creat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iver. Furthermore, by actively utilizing the connected resources scattered around and the landscape resources of the target site, it is expected to take a new leap away from the isolated green island and into an open waterfront-based space where everyone can enjoy.

우이천을 마주하며 쉬고, 놀고, 감상하는 수변여가공간 



종합계획도


 

거점 1 : 우이마을마당, 수국테라스


01. 우이마을마당
우이마을마당은 지역주민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가족 또는 친구들과 마실 나올 수 있는 마중공간이며, 하천변 에서 우이천을 내려다보며 즐길 수 있는 거점형 커뮤니티 공간이다.
Ui Madang is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take a light walk with their family or friends, and it is a base-type community space where they can enjoy looking down at Uicheon Stream from the side of the river.
02. 수국테라스
여름이 되면 테라스 사이사이에 수국이 만개하여 장관을 이룬다. 수국테라스는 ‘초안산수국동산’에서부터 이어져 오는 경험의 클라이맥스가 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자연경관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이자 열린 마당과 정원, 놀이공간이 결합된 수변감성 여가공간이다.
In summer after spring, hydrangeas are in full bloom between the terraces, creating a spectacular view. The Suguk Terrace is a space that can be the climax of the experience that continues from 'Choan Mountain'. In other words, it is a waterfront leisure space that combines an open yard, garden, and play space as well as a natural scenery.

거점 2 : 건강마당, 개울놀이터, 전망테라스


01. 건강마당
건강마당은 전망테라스와 결합하여 운동과 전망,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하천을 내려다보며 운동하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고 아이부터 노인까지 이용가능한 간편한 운동시설을 배치하여 남녀노소 즐길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The Gungang Madang is a space where you can enjoy exercise, view, and rest at the same time in combination with the observation terrace. It was planned to provide a unique experience of exercising overlooking the river and to arrange simple exercise facilities that can be used by children to the elderly so that men and women of all ages can enjoy it.
02. 개울놀이터
개울놀이터는 전망테라스 상단에 위치하며 하천변에서 물장구치며 놀았던 경험을 재현하는 물놀이 공간이다. 돌로 만들어진 개울과 캐스캐이드형 수경시설, 허리 높이의 바닥분수로 구성된 친수공간이다.
The Gaewul playground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observation terrace and is a water play area that recreates the experience of playing with water on the riverfront. It is a hydrophilic space consisting of a stream made of stone, a cascade-type hydroponic facility, and a waist-high floor fountain.
03. 전망테라스
전망테라스는 주변경관과 조화되는 거점 시설로, 특히 야간 경관조명이 더해져 감성적인 수변 풍경을 제공하는 조망특화공간이다. 우이천과 북한산을 바라보며 쉬어갈 수 있는 공간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공간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e Jeonmang Terrace is a base facility that harmonizes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especially a view specialized space that provides an emotional waterfront landscape with night view lighting. It is hoped that it will be a place where you can relax while looking at Uicheon and Bukhan Mountain and be loved by local residents.